생활/문화

생활/문화

서울부터 제주까지! 2025 공예주간, 우리 동네 공예 나들이 가볼까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공진원)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공예 축제, '2025 공예주간'이 16일 전국에서 일제히 막을 올렸다. 오는 25일까지 열흘간 계속될 이번 행사는 '공생공락(共生工樂)'을 주제로, 공예가 우리 일상에 선사하는 즐거움과 유익함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공예주간'은 공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 공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기획된 전국 단위 행사다. 전시, 체험, 판매, 강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이 공예를 더욱 쉽고 친근하게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의 주제인 '공생공락'은 '공예를 매개로 함께 살아가며 일상을 즐겁고 유익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공예가 단순히 감상의 대상을 넘어 우리 삶과 어우러져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더 나은 일상을 만들어가는 동반자임을 강조한다.

 

이번 축제에는 서울부터 제주까지 전국 각지의 공방, 갤러리, 문화예술단체 등 112개의 다양한 기관 및 단체가 참여해 총 112개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전국의 도시와 마을이 공예로 물드는 특별한 열흘이 될 전망이다.

 

공예주간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은 16일 서울 종로구 공진원 갤러리를 비롯해 강원 고성, 전북 부안, 제주 등 거점 도시에서도 동시에 진행됐다. 각 지역은 공예와 지역 문화의 교차점에서 '공생공락' 주제를 저마다의 방식으로 해석하며 공예의 역사와 미래를 이야기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에서는 공진원 갤러리에서 동시대 공예 창작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고 공예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기획전 '미래공예'가 열린다. 또한 문화역서울284에서는 이와 연계하여 공예작품 제작 과정과 활동을 담은 영상을 상영하고, 미래 공예 담론 형성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학술 행사 등도 마련되어 공예의 현재와 미래를 깊이 있게 조망한다.

 

지역별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강원 고성에서는 해양 생태와 공예를 접목한 친환경 전시와 지역 관광자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과 공예의 조화를 경험하게 한다. 전북 부안은 지역의 중요한 공예문화유산인 청자를 활용한 특별한 행사를 진행하며, 전주 한옥마을에서는 전시, 체험, 시장, 여행이 어우러진 프로그램을 통해 공예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밖에도 춘천, 인천, 강릉 등 전국 주요 도시와 청주, 진주, 정읍 등 전국 7개 지역의 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도 지역 기반의 특색 있는 공예 행사들이 방문객들을 기다리며 축제의 열기를 더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담당자는 "문체부는 이번 공예주간을 통해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공예를 더욱 친근하게 느끼고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역 고유의 공예 자원과 창작 역량을 바탕으로 공예문화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의 모든 프로그램 정보와 참여 방법은 '2025 공예주간' 공식 누리집(www.craftweek.co.kr)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울릉도에서 열린 리얼 생존 챌린지.."지도도 없이 27km 완주"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전년도에 비해 참가 인원이 두 배 이상 늘어난 120명이 함께하며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이번 행사는 하이킹, 트레일러닝, 클라이밍 3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참가자들이 각자의 취향과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 이틀간 울릉도의 자연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코오롱스포츠 앰버서더와 각 분야 전문 강사진, 그리고 울릉군 산악구조대가 함께해 안전 관리에도 철저를 기했다.먼저 하이킹 코스인 ‘다이브 인투 더 하이킹’은 참가자들이 스스로 경로를 찾아가는 장거리 트레킹으로 진행됐다. 울릉도의 험준한 산길을 따라 이틀에 걸쳐 총 27.7km를 완주하는 일정이었다. 참가자들은 울릉도의 대표적인 자연 명소인 성인봉과 나리분지를 직접 걸으며 고요한 숲과 거친 능선의 자연을 오롯이 느꼈다. 이 코스는 체력과 인내심을 요구하는 도전적인 여정이었으나, 참가자들은 울릉도의 풍경과 자연 속에서 몰입하며 특별한 경험을 쌓았다. 트레일러닝 코스 ‘다이브 인투 더 트레일러닝’은 이틀간 스테이지 레이스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총 거리 42.1km에 달하는 이 코스는 울릉도의 가파른 오르막과 내리막, 고저차가 큰 지형을 따라 구성되어 러너들에게 극한의 체력과 집중력을 요구했다. 참가자들은 빠른 속도로 달리면서도 울릉도의 자연 환경을 온전히 즐기며, 자신만의 리듬과 페이스를 찾아내는 몰입의 시간을 가졌다.마지막으로 클라이밍 코스 ‘다이브 인투 더 클라이밍’은 기존의 정형화된 코스를 벗어나 진짜 탐험을 구현한 프로그램이었다. 코오롱등산학교와 협력해 울릉도 현장에서 새로 개척한 루트에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은 뽈뚜 릿지 등반과 보루산 암장의 락 클라이밍을 통해 거대한 암벽과 직접 맞닿으며 도전과 성취를 경험했다. 이 코스는 체험 그 자체가 곧 도전이자 개척의 의미를 지니며, 참가자들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순간을 선사했다.모든 참가자들에게는 코스 완주를 증명하는 인증 스탬프가 주어졌으며, 완주자에게는 코오롱스포츠가 준비한 어드벤처 키트가 증정됐다. 이 키트에는 오거나이저 백, 하이커 시트 등이 포함되어 앞으로의 아웃도어 활동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됐다.이번 ‘다이브 인투 울릉’ 행사는 코오롱스포츠가 추구하는 ‘몰입의 아웃도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로, 자연과 함께하는 진정한 아웃도어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시간이 됐다. 참가자들은 울릉도의 독특하고 거친 자연 속에서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새로운 도전과 성취를 경험했다. 코오롱스포츠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다양한 아웃도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국내 아웃도어 문화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