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월드

미쉐린 별, 사실은 돈으로 살 수 있었다…한국도 14억 '투자'

 세계 최고의 미식 안내서로 불리며 124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쉐린 가이드가 그 권위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신뢰성 논란에 휩싸였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1일(현지시간), 미쉐린 가이드가 수익원 확대를 위해 전 세계 관광청들과 거액의 돈이 오가는 제휴를 맺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가의 공정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셰프들에게는 꿈의 영예로, 미식가들에게는 절대적인 지표로 여겨졌던 '미쉐린 별'이 사실상 돈으로 거래될 수 있다는 비판이 요식 업계 내부에서부터 거세게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미쉐린 가이드가 각국 관광청으로부터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받고 해당 국가의 안내서를 발간하는 사업 모델에 있다.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물론, 이스라엘과 미국 각 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국가의 관광청이 자국 관광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미쉐린 측에 거액을 지불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2016년 서울 편이 처음 출간된 이후 4년에 걸쳐 총 100만 달러(약 14억 원)를 미쉐린 측에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CNN은 태국 관광청이 2017년 무려 440만 달러(약 64억 원)를 내고 방콕 편을 발간했으며, 당시 17개의 식당이 별을 획득했다고 보도하며 이러한 유착 관계의 실체를 드러냈다.

 


이러한 금전적 협력 관계는 미쉐린 가이드가 오랜 세월 쌓아온 '독립성'과 '신뢰성', 그리고 '돈에 매수되지 않는다'는 절대적인 명성에 치명적인 흠집을 내고 있다.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할 국가 기관으로부터 돈을 받고 안내서를 만든다는 사실 자체가 평가의 객관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덩이팅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경영대학 연구원은 "정부나 여행사 등과 지나치게 협력하면 신뢰도는 물론, 다른 기관이 평가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현재의 사업 방식이 미쉐린 브랜드의 가치를 스스로 깎아내리고 있음을 경고했다.

 

물론 미쉐린 가이드 측은 이러한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이들은 관광청과의 파트너십이 반드시 별점 부여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파트너들 역시 미쉐린이 제시하는 가치를 신뢰하고 그 독립성을 지켜줘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한국에 40곳, 태국에 17곳의 별점 레스토랑이 탄생한 배경에 수십억 원의 돈이 오갔다는 사실이 드러난 이상, 이러한 해명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결국 124년 역사의 미쉐린 가이드는 전통적인 권위를 지키느냐, 아니면 새로운 수익 모델을 통해 몸집을 불리느냐는 중대한 기로에 서게 됐다.

 

카지노-호텔 '쌍끌이' 대박…파라다이스, 분기 최대 실적 또 갈아치웠다

,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288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95억 원으로 9.1% 늘어나며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안착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호실적의 배경에는 엔데믹 이후 본격화된 외국인 관광객 유입과 더불어, 질적 성장을 추구한 내부 전략이 성공적으로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특히 이번 실적을 견인한 핵심 동력은 단연 카지노 사업 부문이었다. 서울, 부산, 제주에 위치한 파라다이스의 카지노들은 3분기 동안 전년 대비 18.9%라는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주목할 점은 VIP 고객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고객, 즉 '매스(Mass)' 고객층의 방문과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이 기간 매스 고객의 드롭액(칩 교환 총액)은 전년 대비 20% 이상 급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소수의 VIP 고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고객 기반을 다변화하여 보다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복합리조트 파라다이스시티의 독보적인 성과와 호텔 부문의 꾸준한 선전 역시 전체 실적을 든든하게 뒷받침했다. 파라다이스시티는 3분기 드롭액이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하며 분기 기준 최대 기록을 다시 한번 갈아치우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카지노뿐만 아니라 호텔, 스파, 쇼핑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결합한 복합리조트 모델이 시너지를 내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호텔 부문 역시 내국인 및 외국인 관광 수요가 동시에 확대됨에 따라 매출이 6.2% 증가하며 호조를 이어가, 사업 부문 간의 균형 잡힌 성장을 실현했다.파라다이스는 이러한 성장세를 연말까지 이어가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이는 일본 VIP 시장을 중심으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는 한편, 다가오는 연말과 연초 성수기를 겨냥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 VIP 고객을 위한 특별 디너쇼와 다채로운 이벤트를 기획하여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4분기에도 최대 실적을 달성하겠다는 각오다. 견고한 3분기 실적을 발판 삼아 연말 특수를 정조준하는 파라다이스의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