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먹방'부터 '꼰대'까지…579돌 한글날, 세계를 물들인 한글의 빛과 그림자

 "팅갈 민따 마앞 트루스 등으린 락얏 아파 수샇냐(사과하고 국민 말 좀 듣는 게 뭐가 그렇게 어렵냐)"

 

한글로 쓰였지만, 한국인은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이 문장은 인도네시아 네티즌들이 정부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글 암호'다.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지구촌 곳곳에서 때로는 저항의 도구로, 때로는 문화 보존의 방주로, 때로는 가장 '힙한' 신조어로 사용되는 한글의 놀라운 여정을 조명한다. 최근 인도네시아에서는 국회의원 특혜에 반대하는 시위가 격화되자, 네티즌들이 정부의 감시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면서도 초성·중성·종성 체계로 외국어 발음을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고, 라틴 알파벳과 다른 독특한 모양 덕분에 자동 검열을 피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한글을 이용해 소셜미디어에서 자유롭게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글은 소수 민족의 언어를 지키는 '방주' 역할도 해냈다.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고유 언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2009년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 한글이 자신들의 언어 발음과 매우 유사하게 표기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제 찌아찌아족은 한글로 된 교과서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거리 곳곳에서 한글 간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미국 뉴욕타임스(NYT)에서도 민족 정체성 보존의 성공 사례로 주목한 바 있다. 한글 단어는 그 자체로 세계적인 신조어가 되기도 한다. '먹방(Mukbang)'은 이미 세계 공용어가 됐고, K팝 팬들은 '오빠(Oppa)', '막내(Maknae)'처럼 미묘한 뉘앙스를 살리기 위해 우리말을 그대로 사용한다. 일본의 젊은 세대는 '진짜(ジンチャ)'를 '정말'이라는 뜻의 신조어처럼 활용한다.

 

 

물론 빛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영국 BBC는 '꼰대(Kkondae)'를 '오늘의 단어'로 선정하며 한국의 경직된 위계 문화를 조명했고, NYT는 '갑질(Gapjil)', '재벌(Chaebol)' 같은 단어를 통해 한국 사회의 그늘을 짚기도 했다.

 

차재은 경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글은 '지혜로운 사람이면 나절,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이면 깨우친다'고 할 만큼 배우기 쉬운 과학적인 문자"라며, "한류의 영향력, 한국의 민주적 시위 문화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글의 세계적 확산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이향에 반하고, 한약우 맛에 빠지다

읍 내성천 일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천혜의 송이버섯 산지로 꼽히는 봉화는 매년 송이 철에 맞춰 지역 농특산물과 공연·체험을 아우르는 통합형 축제를 꾸려왔다.개막일 16일에는 지역 농산물로 차린 ‘오색오미 대형 비빔밥 퍼포먼스’가 분위기를 달군다. 현장에서 완성된 비빔밥은 선착순 500명에게 무료 시식으로 제공돼 방문객들의 발길을 모을 전망이다. 17일에는 청춘 감성 무대를 표방한 ‘봉화 샤이닝스타 콘서트 시즌2’와 ‘가을송! 낭만음악회’가 이어진다. 우동하, 장하나, 서영은, KCM 등 다양한 장르의 가수들이 출연해 가을밤 낭만을 책임진다.18일에는 색다른 콘셉트의 ‘제1회 전국 이몽룡 선발대회’가 신설돼 눈길을 끈다. 결선에 오른 20명이 캐릭터의 매력을 각자 방식으로 표현하며 경쟁을 펼친다. 무대에는 2025 글로벌 춘향이 선발대회 진(眞) 김도연 씨와 가수 손태진이 특별 게스트로 나서 축제의 품격을 더한다. 마지막 날인 19일에는 어르신들의 끼와 열정을 조명하는 ‘실버스타 선발대회’가 열려 세대가 함께 즐기는 화합의 장을 연출한다. 폐막공연에는 송가인, 정수연, 이예준 등이 출연해 화려한 무대를 선사하고, 불꽃쇼가 내성천 밤하늘을 수놓으며 축제의 대미를 장식한다.본 행사와 함께 지역 문화자원을 알리는 연계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제42회 청량문화제를 비롯해 봉화군 농특산물 한마당, 씨름왕 선발대회, 민속장기대회, 성이성 문화제, 목재 문화행사 등이 축제 기간 내내 분산 배치돼 관람 동선을 다채롭게 한다. 특히 송이판매장터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문을 열고, 산지 직송 송이를 공정한 가격으로 직거래한다. 한우와 송이를 활용한 메뉴, 라면에 송이를 더한 이색 메뉴 등 ‘송이 퓨전’ 먹거리 코너도 운영돼 미식의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박현국 봉화군수는 “올해 축제는 제철 송이와 한약우를 중심으로 지역 특산물, 공연, 체험 프로그램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며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고 쾌적하게 즐길 수 있도록 편의시설과 현장 운영을 세심하게 준비했다”고 말했다. 가을 정취가 무르익는 내성천에서 송이 향과 음악, 전통문화가 어우러지는 봉화송이축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유치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