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위기 속 빛난 한판승! 이준환, 세계선수권 3년째 메달 행진


유도 남자 81kg급 세계랭킹 1위 이준환(23·포항시청)이 2025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감동적인 한판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6월 17일(한국시간) 열린 대회 남자 81kg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그는 우즈베키스탄의 아르슬론베크 토이예프(세계랭킹 31위)를 상대로 마지막 순간까지 집중력을 발휘하며 값진 승리를 거머쥐었다.경기 초반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준환은 토이예프에게 유효 점수를 내주며 다소 끌려가는 모습을 보였다. 상대의 공격에 밀리는 듯한 흐름 속에서도 큰 흔들림 없이 자기 페이스를 잃지 않았다. 경기 시작 약 1분 30초 경, 이준환은 상대의 빈틈을 놓치지 않고 절반 점수를 획득하며 반전을 꾀했다. 이로써 경기 중반 이후부터는 점수 싸움에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경기 막바지, 종료 1분 20초를 남긴 시점에서 이준환은 결정적인 한판 기술인 왼쪽 외깃업어치기를 과감하게 시도해 상대를 매트에 완전히 눕히며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 한판승은 그가 동메달을 확정짓는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이 기술은 그동안의 노력이 집약된 완벽한 타이밍과 정확성으로 완성된 기술로 평가받으며, 이준환의 뛰어난 기량과 집중력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기록됐다.

 

이번 동메달 획득으로 이준환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3년 연속 동메달을 거머쥐는 쾌거를 이루었다. 2023년에는 일본의 나가세 다카노리를 꺾고 첫 동메달을 수확했으며, 지난해 대회에서도 꾸준한 실력으로 동메달을 따냈다. 이로써 그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세계선수권 시상대에 오르며 81kg급 최강자 중 한 명임을 입증했다.

 

이준환은 이번 대회에서 세계랭킹 1위로서의 위엄을 지키면서도 끊임없는 도전과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초반에 불리한 상황이었지만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은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해 더욱 높은 목표를 달성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의 이번 성과는 개인적인 기록을 넘어 한국 유도의 위상을 세계에 다시 한번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이번 대회 금메달은 세계랭킹 5위 티무르 아르부조프(러시아)가 차지했으며, 준우승은 랭킹 8위 타토 그리가라시빌리(조지아)에게 돌아갔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이준환은 견고한 경기 운영과 뛰어난 기술력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특히 81kg급은 세계 각국에서 뛰어난 선수들이 포진한 격전지인 만큼, 이준환의 꾸준한 성과는 더욱 값지게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준환의 성과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유도계 관계자들은 그의 연속 메달 획득이 한국 남자 유도의 새 역사를 쓰고 있다고 평가하며, 올림픽 및 향후 국제대회에서 한국 유도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준환은 현재 포항시청 소속으로 국내외 대회에서 꾸준히 실력을 쌓아가며 한국 유도 대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중이다.

 

이준환의 이번 세계선수권 동메달은 단순한 개인 성취를 넘어 한국 유도의 경쟁력 강화와 국제무대에서의 존재감 확대를 의미한다. 앞으로도 그의 활약이 지속될 경우, 한국은 남자 81kg급 부문에서 꾸준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유도팬들과 전문가들은 그가 2028년 파리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에서 더욱 빛나는 성과를 낼 것이라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결국 이번 대회를 통해 이준환은 세계 무대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매김했으며, 그의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기술과 철저한 경기 전략은 향후 더 큰 무대에서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민국 유도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주역으로서, 그의 다음 행보와 성과에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고향마을, '대박' 터졌다!

동시는 늘어나는 방문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해 포토존 조성과 편의시설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안동시는 지통 마을에 위치한 이 대통령 생가터에 실물 크기의 사진 조형물인 포토존 패널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동시는 이 대통령의 원본 사진 도안을 중앙부처에 공식 요청하여 확보했으며, 현재 주민들과의 협의를 거쳐 4가지 시안 중 최종 하나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 포토존은 방문객들에게 대통령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는 듯한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지통 마을 방문의 즐거움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이 대통령 취임 이후 지통 마을은 부산, 밀양, 광주,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 찾아오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생가터는 과거의 집은 철거되고 밭으로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생가터 주변에 방명록 작성 공간을 마련하여 방문객들이 소중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주말이면 하루 평균 400명 이상이 다녀가는 것으로 파악될 만큼, 지통 마을은 이미 많은 이들에게 의미 있는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안동시는 이러한 방문객들의 증가에 발맞춰 관광객 편의를 위한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다음 주 중 생가터 인근에 공사비 2천800만원을 투입하여 주차 면수 30대(1천200㎡) 규모의 주차장을 준공할 예정이다. 이는 방문객들의 가장 큰 불편 사항 중 하나였던 주차 문제를 해소하여 보다 쾌적한 방문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주차장 완공 이후에는 임시 화장실과 기타 편의 시설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어서, 지통 마을이 명실상부한 관광지로 거듭날 전망이다.마을 입구로부터 5km와 2km 지점에는 '제21대 대통령 이재명 생가터'라는 녹색 이정표가 각각 세워져 있어 방문객들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안동시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 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최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나아가 포토존 설치를 통해 방문하신 국민들께 즐거운 추억까지 선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사업의 취지를 설명했다. 지통 마을은 이제 단순한 고향 마을을 넘어, 대통령의 역사적 발자취를 더듬고 지역 문화를 체험하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