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틱톡 '영아 버터 수면' 트렌드, 위험하다!

 육아에 지친 부모들에게 아이의 숙면만큼 간절한 소원은 없을 것이다. 아기가 밤새 깨지 않고 8시간 연속으로 잠을 잔다면, 그것은 많은 부모들에게 꿈같은 일상일 것이다.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틱톡(TikTok)에서는 이런 부모들의 간절함을 겨냥한 새로운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바로 아기에게 잠들기 전 버터 한 스푼을 먹이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이른바 '버터 수면'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영국, 뉴질랜드 등 전 세계 영어권 국가들로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숙면을 위해 이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며, 일부는 실제로 효과를 봤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의료 및 영양 전문가들은 이 방법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으며, 오히려 아이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틱톡 사용자 밀리 엘리스(@.millieellis)는 자신의 계정에 아기에게 버터를 먹이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했다. 그녀의 영상에 따르면, 첫날 밤 아기는 한 번의 수유와 외부 소음으로 인해 깨기는 했지만, 평소보다 비교적 숙면을 취했다고 한다. 둘째 날에는 더 오랜 시간 동안 잤지만, 이것이 버터의 효과인지 아니면 단순히 아기가 그날 더 피곤했기 때문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솔직하게 인정했다.

 

반면, 뉴질랜드의 엄마 페이지 발로크(@Paige Balloch)는 15개월 된 자신의 아기에게 같은 방법을 시도했지만 전혀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그녀는 영상을 통해 "아기를 오후 7시에 재웠지만, 오후 8시가 조금 넘었을 때 이미 세 번이나 깼다"고 말하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처럼 '버터 수면'의 효과는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많아 보인다.

 

아기 영양 전문가 샬롯 스털링-리드(Charlotte Stirling-Reed)는 영국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이 트렌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그녀는 "소셜 미디어는 잘못된 정보로 가득 차 있다"며, 버터가 소금과 포화 지방 함량이 높아 아기들에게 적절한 음식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특히 버터의 질감과 미끄러운 특성이 씹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아기들에게 질식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털링-리드는 "요리에 버터를 첨가하거나 토스트에 얇게 바르는 것은 괜찮지만, 큰 덩어리를 직접 숟가락으로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조언했다. 또한 그녀는 아이들이 밤중에 깨는 것은 정상적인 성장 과정의 일부라는 점을 강조했다. 신생아는 하루 평균 1618시간 잠을 자지만, 한 번에 길게 자는 것이 아니라 24시간 간격으로 깨어나는 것이 자연스러운 패턴이라는 것이다.

 

소아과 의사들도 이 트렌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아기의 소화 시스템은 아직 발달 중이기 때문에 고지방 식품인 버터를 직접적으로 섭취하면 소화 불량, 복통, 설사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버터에 함유된 높은 칼로리와 포화지방은 아기의 건강한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 균형을 방해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아기의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는 검증되지 않은 방법보다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수면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 만들기, 적절한 수면 환경 조성하기, 낮과 밤을 명확히 구분하기 등이 그 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위해서는 매일 같은 시간에 아기를 재우고, 일정한 취침 루틴(목욕 → 마사지 → 자장가 → 수면 등)을 유지하며, 낮잠 시간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좋다. 수면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방 온도를 20~22℃로 유지하고, 어둡고 아늑한 분위기를 만들며, 조용한 환경이나 필요시 백색소음(빗소리, 팬 소리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낮에는 밝고 활동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밤에는 조명을 어둡게 하며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등 낮과 밤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유나 기저귀 교체 시에도 최소한의 자극만 주어 아기가 밤과 낮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아기에게 맞는 수면 방식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가능하면 아기가 스스로 잠들도록 돕고, 필요시 토닥이기나 가벼운 흔들기 등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다. 모유수유나 분유 수유 후에는 충분히 트림을 시켜 복통을 예방하는 것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

 

아기가 배고프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기 전에 충분히 수유하되 너무 배부르면 오히려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먹이는 것이 좋다. 기저귀가 젖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이가 날 때는 치발기나 마사지를 활용하여 불편함을 줄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잠자리에서 아기를 너무 자극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자기 직전에 흥분되는 놀이는 피하고, 부모가 너무 오래 안거나 놀아주면 오히려 잠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낮잠과 수면 리듬을 적절히 조절하여, 낮잠을 너무 길게 자면 밤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연령별 적정 낮잠 시간을 지키고, 오후 늦게 너무 긴 낮잠은 피하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부모들이 아이의 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터 수면'과 같은 검증되지 않은 방법을 시도하기보다는, 아이의 생체 리듬을 이해하고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관된 조언이다. 소셜 미디어의 트렌드에 현혹되기보다는 소아과 의사나 수면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최선의 선택일 것이다.

 

2만 원대로 즐기는 '미식 투어'…제천 현지인 '찐맛집' 리스트 대공개

있는 곳으로, 최근 SNS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 카페 '글루글루'에서 여정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카페 앞 수백 평에 달하는 설악초 군락은 마치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인 듯한 장관을 연출하며, 그 사이로 난 오솔길을 따라 걷다 보면 청풍호의 물결과 어우러져 한 폭의 수채화 같은 풍경을 자아낸다. 꽃보다 아름다운 잎을 가진 설악초의 순수한 매력에 빠져보는 시간은 팍팍한 도시의 삶에 지친 이들에게 진정한 힐링을 선사한다.청풍호의 진면목을 확인하고 싶다면 비봉산 정상에 올라보자. 청풍호반 케이블카를 이용하면 약 10분 만에 해발 531m 정상에 다다를 수 있다. 사방으로 펼쳐진 청풍호의 푸른 물결과 주변을 둘러싼 산세는 마치 바다 한가운데 섬에 오른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맑은 날에는 제천 시내와 월악산, 소백산까지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가슴 벅찬 감동을 안겨준다. 비봉산에서 내려와 청풍대교를 건너면 천년고찰 정방사를 만날 수 있다. 깎아지른 절벽 아래 자리한 사찰의 신비로운 풍경과 해 질 녘 노을이 어우러지는 모습은 잊지 못할 장관을 선사한다.제천은 예로부터 약초가 풍부해 약선 음식이 발달한 곳이다. '약채락'은 제천의 건강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 브랜드로, '약채락성현'에서는 한약재를 넣고 끓인 버섯불고기전골과 떡갈비, 더덕구이 등 건강과 맛을 모두 잡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새터오리촌'의 한방오리누룽지백숙과 한방오리보쌈은 부드러운 육질과 깊은 풍미로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는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천의 다양한 맛집을 탐방할 수 있는 '가스트로 투어'도 놓칠 수 없는 즐거움이다. 시내권과 의림지권으로 나뉜 코스를 따라 덩실분식, 빨간오뎅, 낭만짜장 등 현지인들이 사랑하는 맛집들을 두루 경험할 수 있다.든든하게 배를 채웠다면 제천의 또 다른 명소인 의림지와 국립 제천치유의숲으로 발걸음을 옮겨보자. 삼한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의림지는 유구한 역사와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한다. 용추폭포의 시원한 물줄기와 솔밭공원의 향긋한 솔 내음은 심신에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금수산 자락에 위치한 국립 제천치유의숲은 피톤치드 가득한 숲길을 걸으며 명상과 사색의 시간을 갖기에 최적의 장소다. 다양한 테마의 숲길과 치유 프로그램은 몸과 마음의 평온을 되찾아주며, 제천 여행의 완벽한 마무리를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