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38억 명이 감염된 '이 바이러스'의 종말 임박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을 감염시키고 평생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주기적으로 증상을 일으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의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1형(HSV-1)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진 바이러스 중 하나로, 주로 입술이나 코 주변에 물집과 통증, 가려움증, 붉은 반점 등을 동반하는 구순포진을 유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해 50세 미만 인구의 60% 이상, 약 38억 명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선진국에서도 감염률이 매우 높아 미국의 경우 성인 인구의 약 67%가 HSV-1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SV-1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번 감염되면 평생 몸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바이러스는 초기 감염 후 신경절에 잠복하며,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과도한 피로, 감기와 같은 다른 감염증, 심지어 강한 자외선 노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재활성화되어 증상을 반복적으로 일으킨다. 더욱 심각한 것은 HSV-1이 단순한 구순포진 외에도 생식기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뇌염과 같은 심각한 뇌 염증,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질환과의 연관성까지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은 최근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어떻게 잠복 상태에서 깨어나 재활성화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가 'UL12.5'라는 특정 단백질을 생성하여 미토콘드리아 핵산이 세포질로 방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스스로 재활성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바이러스가 단순히 숙주의 면역 상태가 약해지기를 수동적으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재활성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다른 병원체의 감염이 있을 때는 이 UL12.5 단백질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다른 병원체를 감지하는 것만으로도 복제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 경로를 차단하면 HSV-1의 발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버지니아대학교 미생물학 교수 안나 클리프 박사는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조건을 수동적으로 기다리지 않고 능동적으로 위험을 감지하고 과정을 통제한다는 사실에 놀랐다"면서 "이는 바이러스가 뉴런 손상, 감염 또는 기타 위협으로 인한 세포 스트레스를 감지해 새로운 숙주를 찾아 감염시킬 기회를 스스로 만들어낸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재까지는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휴면기에서 깨어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치료법이 없었으며, 대부분의 치료는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팀은 현재 UL12.5 단백질 억제제를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접근법은 기존 치료법과는 달리 바이러스의 재활성화 자체를 차단할 수 있어,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바이러스 단백질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숙주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보다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안전성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존 홉킨스 대학의 리처드 화이트리 교수(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음)는 "이번 연구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잠복과 재활성화 메커니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며 "특히 바이러스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한다는 발견은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저널인 《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Co-option of mitochondrial nucleic acid–sensing pathways by HSV-1 UL12.5 for reactivation from latent infection(잠복 감염으로부터 재활성화를 위한 HSV-1 UL12.5의 미토콘드리아 핵산 감지 경로 공동 활용)'이란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헤르페스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다른 잠복성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이 고통받고 있는 헤르페스 감염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해질 날이 한층 가까워진 것으로 평가된다.

 

걷고, 즐기고, 기록하고…청산도 슬로걷기 축제, 3가지 테마로 '느림의 미학' 선사

한 곳으로, 지난해 한국관광공사 주관 '한국 관광의 별' 본상을 수상하며 친환경 관광 명소로 인정받았다.올해 축제는 '청산도에서 낮밤 없이 놀아보세!'라는 주제 아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축제는 크게 '걸어보세', '낮밤 놀아보세', '기록하세'라는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청산도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4월 5일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나비를 유채꽃밭에 날리는 '나비야, 청산가자'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흥겨운 농악대와 판소리 공연이 펼쳐져 축제의 시작을 알린다.'걸어보세' 프로그램은 청산도의 대표적인 슬로길 11개 코스 중 4개 코스를 걷는 '청산도에서 걸으리랏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4개 이상의 코스를 완주하고 스탬프를 받으면 소정의 선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산도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고 친환경 키트로 교환하는 '슬로길 플로깅'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환경 보호에 동참하며 걷기의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낮밤 놀아보세' 프로그램은 청산도의 독특한 문화와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청산도 구들장 논에서 수확한 쌀로 떡을 만들고 나누는 '구들장 논 방앗간' 행사는 전통 농경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다. 또한, 청산도의 아름다운 경관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청산도 유랑단' 공연은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특히, 야간에는 은하수 명소로 유명한 청산도에서 인생 사진을 남길 수 있는 '별 볼 일 있는 청산도' 프로그램과, 달빛 아래 청산도를 걷는 '청산도 달빛 나이트 워크'가 준비되어 있어, 낮과는 또 다른 청산도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완도군 관계자는 19일 "올해 축제는 '2025 완도 방문의 해'를 맞아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과 혜택을 준비했다"며, "섬 여객선 반값 운임, 완도치유페이 등 다양한 혜택을 통해 많은 분들이 청산도를 방문하여 슬로시티의 매력을 경험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