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버려질 뻔한 전시 폐기물, '디자인 굿즈'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착한 변신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이 ESG(환경·사회·투명) 경영 가치를 실천하며, 버려지는 전시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을 선보인다.

 

27일 국립현대미술관은 그동안 전시 조성물의 재사용 등을 통해 탄소 저감 노력을 기울여 온 데 이어, 지속 가능한 친환경 상품을 기획·판매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김하늘 디자이너와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시 폐기물인 석고보드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재사용하여 일상용품 3종을 탄생시켰다.

 

새롭게 선보이는 제품은 벽걸이 훅(Wall hook), 수납 트레이(Tray), 도서 받침대(Bookend)로, 국립현대미술관 심벌의 조형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예술적인 감각을 더했다. 특히, 재사용 석고보드에 친환경 레진 '제스모나이트'를 혼합한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 부담을 최소화했다. 제스모나이트는 무독성 수성 특질을 지니며, 유해 물질이 없고 난연, 불연 소재로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상품 제작에 사용된 석고보드는 건설 현장과 전시장에서 수거된 것이다. 벽걸이 훅은 자성을 이용해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수납 트레이는 사무용품이나 다양한 소품을 보관하고 운반하는 데 용이하다. 도서 받침대(북엔드)는 책장이나 책상 위 도서를 안정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이번 친환경 용품 출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지속적인 친환경 노력의 일환이다. 미술관은 2022년부터 'MMCA Green' 제품군을 개발하여 친환경 바이오 소재, 재생 소재 등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여 왔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김하늘 디자이너는 팬데믹 기간 동안 버려진 마스크를 활용해 의자를 제작하는 등 폐기물 재활용 작업으로 주목받는 작가다. 그는 폐플라스틱 공병, 비닐 쇼핑백, 박스, 스크린 등 다양한 폐기물을 재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가구와 오브제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새로운 친환경 용품 3종은 오는 28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가게와 온라인숍 미술가게(mmcashop.co.kr)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번 신제품 출시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은 예술과 환경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여수 섬의 공룡 발자국, 1759개? 숨겨진 여행지 대공개!

사도, 추도는 다양한 매력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여수 화양면에 속한 이 세 섬은 낭도는 차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사도와 추도는 배를 타고 이동할 수 있어 다양한 여행지로 손꼽힌다.여수시 화양면에서 낭도에 들어가면, 낭도는 이 일대에서 가장 큰 섬이다. 면적이 여의도의 두 배 정도 되는 낭도는 동쪽에 상산(283m)이라는 큰 산이 자리잡고 있어 섬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낭도로 가기 위해 여수항에서 배를 타야 했지만, 현재는 낭도에서 사도와 추도로 가는 배가 운행되어 이동이 더 편리해졌다. 낭도의 입구로 이어지는 다리를 지나면, 그 경치는 마치 시간을 거슬러 가는 듯한 기분을 준다. 낭도에서 카페리를 타고 15분 정도 이동하면 사도가 나오고, 5분을 더 가면 추도에 닿게 된다. 추도는 그 자체로 한때 오지로 여겨졌던 곳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추도의 주민은 단 한 명으로 줄어들어 배편이 끊기기도 했다. 그러나 17년 전, 조영희(65) 씨가 이 섬에 들어와 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하면서 섬에 변화가 일어났다. 그녀는 섬을 가꾸고 알리면서 주민들이 돌아오게 했고, 지금은 주민이 10명으로 늘어났다. 3월 29일부터는 낭도와 추도 사이에 배가 다시 다니게 되어 방문객들에게 더욱 접근하기 쉬워졌다. 추도의 풍경은 다른 섬들처럼 상업화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매력적이다. 돌담과 몇 채의 가옥이 어우러져 소박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이 돌담은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 돌로만 쌓았는데, 그 노력과 주민들의 애환이 느껴진다. 추도의 중턱에는 추도분교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 곳은 주민들이 제 자식처럼 가꾸던 곳으로, 분교가 문을 열었던 1967년 당시에는 주민들이 모두 대가족처럼 살아갔다. 그러나 1983년에 문을 닫고 지금은 폐교가 되어 있다. 섬을 따라 돌아보면 '용궁'이라 불리는 해안 지형과 서쪽 해안의 퇴적암층을 포함해 다양한 볼거리가 펼쳐진다. 그 중에서도 추도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된 곳으로 유명하다. 사도, 낭도 등을 포함한 이 일대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은 3600여 개에 달하며, 추도에서만 1759개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길이 84m에 달하는 보행렬은 세계 최장의 공룡 화석지로 알려져 있다. 이 섬의 서쪽 해안은 퇴적암층과 주상절리가 아름답게 결합되어, 공룡 발자국 화석과 함께 환상적인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사도는 추도와 가까운 섬으로, 추도항에서 사도항까지는 불과 1.1km 거리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다. 사도는 주변 섬들과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섬이다. 특히 사도에는 10m 높이의 티라노사우루스 모형이 방문객을 반긴다. 이곳의 가옥들은 대부분 단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늘밭과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랑한다. 사도와 중도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어 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퇴적암층과 바닥에 찍힌 공룡 발자국들이 아름답게 펼쳐진다. 중도와 증도는 양면해수욕장이 이어져 있으며, 밀물 때는 잠기고, 썰물 때는 50m 폭의 고운 모래 해변이 드러난다. 증도는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다양한 자연 형상을 볼 수 있다. 거북바위와 얼굴바위, 장군바위 등은 이곳의 명물로, 이순신 장군이 올라갔다고 전해지는 바위도 있다.여수의 섬들은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지만, 모두 고유의 자연과 문화를 지니고 있다. 드론으로 내려다본 여수의 섬들은 각각의 섬들이 독특한 위치와 모습을 자랑하며, 그 주변의 아름다운 바다와 산들이 어우러져 여행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여수의 낭도, 사도, 추도는 그 자체로 특별한 여행지이며, 그곳에서 자연과 사람의 따뜻한 연결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