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

Enter

"14시간 학원? 오해다!" 한가인, '극성맘' 논란 정면돌파

 배우 한가인이 자신을 둘러싼 '극성맘' 논란과 악성 댓글에 대한 솔직한 심경을 밝히면서도, 자녀 교육에 대한 소신을 굽히지 않는 강단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26일 방송된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한가인은 최근 불거진 '극성맘' 논란에 대해 "아이들 공부를 엄청 시킨다는 오해가 있는데, 절대 아니다"라며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섰다. 그녀는 "이번 계기로 말씀드리고 싶은 건 제 이미지 때문에..."라며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은 지난해 한가인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 '자유부인 한가인'을 통해 공개한 14시간에 걸친 자녀 학원 '라이딩' 일정표에서 비롯되었다. 빡빡한 스케줄에 일부 네티즌들은 과도한 교육열이라며 비판적인 시선을 보냈고, 한가인은 "특별히 늦게 끝나는 날로 촬영했다", "아이들을 쥐 잡듯 잡지 않는다"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최근 코미디언 이수지가 '제이미(Jamie)맘'이라는 캐릭터로 '대치동 엄마'를 패러디하면서 한가인의 영상이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고, 일부 네티즌들은 한가인의 유튜브 영상에 악플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결국 한가인 측은 해당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한가인은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자신의 자녀 교육에 대한 소신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녀는 둘째 아들 제우(6)군이 "엄마랑 시간 더 보내고 싶다"며 유치원을 그만두고 싶어하자, "그러면 그만둬"라고 흔쾌히 허락하고 현재 24시간 밀착 육아를 하고 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3월부터 다시 유치원에 가기로 약속했지만, 첫째를 돌보느라 소홀했던 둘째와 온전히 시간을 보내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덧붙이며, 아이의 의사를 존중하는 육아 방식을 강조했다.

 

첫째 딸 제이(9)양에 대해서는 "자기 가고 싶은 학원만 다닌다"며, 아이의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설명했다. 제이 양이 학원 가기 전 '최소 3개월' 약속을 하지만, 두 달 만에 "선생님이 생각할 시간을 안 준다"며 그만두겠다고 선언한 에피소드를 전하며,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가인은 "엄마랑 약속한 게 있으니 두 번만 더 가보자"고 설득했지만, 제이 양은 학원을 마치고 "난 두 번만 오면 안 온다!"라고 외치며 뛰쳐나왔다고. 한가인은 "너무 망신스럽더라"면서도 "제가 공부시킨다고 할 애들이 아니다"라며 웃었다.

 

한가인은 "아이들이 원하지 않는 수업은 하지 않는다", "학교, 학원 안 다녀도 (괜찮고) 애들 행복이 우선"이라는 자신의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극성맘'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아이들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교육관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악플과 논란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자신의 교육관을 밝힌 한가인. 그녀의 솔직한 발언은 자녀 교육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안고 있는 많은 부모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전하는 동시에, 건강하고 올바른 교육 방식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즘 애들은 왜 '뛰러' 여행가나"…도쿄, 뉴욕, 그리고 의외의 '경주'

자리 잡으면서 국내외 유명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천년 고도로만 여겨졌던 경주가 APEC 정상회의 유치 과정에서 재조명받으며, 서울에 이어 한국인이 사랑하는 러닝 도시 2위에 오르는 등 런트립의 새로운 성지로 급부상한 점이 주목된다. 이는 마라톤과 같은 스포츠 이벤트가 여행의 핵심적인 동기가 되는 새로운 트렌드를 명확히 보여준다.해외로 눈을 돌리면, 대한민국 여행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마라톤 여행지는 단연 일본 도쿄였다. 그 뒤를 호주 시드니, 미국 뉴욕, 대만 타이베이, 그리스 아테네가 이었다. 특히 도쿄, 시드니, 뉴욕은 세계 최고 권위의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개최지로, 유명 대회를 직접 경험하려는 러너들의 열망이 숙소 검색량 급증으로 이어졌다. 전년 대비 시드니와 뉴욕의 숙소 검색량은 각각 74%, 115%나 증가했는데, 이는 걸그룹 뉴진스 멤버 다니엘의 시드니 마라톤 참가나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서 방송인 기안84의 뉴욕 마라톤 도전기가 방영되는 등 유명인의 참여가 대중적 관심을 폭발시킨 결과로 분석된다.국내에서는 마라톤 대회가 가장 많이 열리는 서울이 부동의 1위를 지켰다. 2024년에만 총 118개의 대회가 개최될 만큼 러너들에게는 최고의 접근성을 자랑한다. 가장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인 곳은 대구다. 2026년 대구마라톤 참가 신청자가 이미 4만 명을 돌파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으며, 아고다 내 숙소 검색량 또한 전년 대비 190%라는 폭발적인 증가율을 기록하며 국내 마라톤 여행지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2위 경주는 유적지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코스 덕분에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이처럼 런트립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여행의 패러다임 자체도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쉬고 즐기는 여행을 넘어, 스포츠를 통해 성취감을 얻고 건강을 챙기는 능동적인 형태의 여행이 주목받는 것이다. 타이베이 마라톤이 아시아의 주요 마라톤 여행지로 부상하고, 올림픽의 발상지에서 달릴 수 있는 아테네 마라톤이 꾸준히 사랑받는 것처럼, 각 도시의 역사와 특색이 담긴 달리기 코스는 그 자체로 강력한 관광 콘텐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여행 업계 또한 러너들이 항공편부터 숙소까지 손쉽게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강화하며 새로운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