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포츠

'1위의 위엄' 안세영, 천 위 페이에게 45분 만에 완승

여자 배드민턴 세계랭킹 1위 안세영(삼성생명)이 2025 BWF 오를레앙 마스터스(슈퍼 300) 여자 단식 결승에서 중국의 천 위 페이(11위)를 2-0(21-14, 21-15)으로 물리치며, 올해 세 번째 우승 트로피를 차지했다. 경기는 9일 오후 9시 10분(한국 시각) 프랑스 파리 남서쪽 오를레앙에서 열렸으며, 안세영은 체력적인 부담이 있었지만 특유의 끈질긴 수비력과 정확한 스트로크로 상대를 압도했다.

 

안세영은 하루 전 4강에서 중국의 가오 팡 지에(17위)와 만났고, 첫 게임을 20-22로 내주며 고전한 뒤 체력적인 부담을 안고 결승전을 맞이했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그런 부담을 전혀 느끼지 않게 하는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 안세영은 초반부터 천 위 페이를 전후좌우로 흔들며 경기를 유리하게 끌고 갔다.

 

첫 게임에서 안세영은 스핀 헤어핀으로 경기를 시작했다. 초반 3-2로 리드를 잡은 후, 대각선 하프 스매싱과 특유의 빠른 스트로크로 점차 점수를 벌렸다. 7-5에서의 수비 장면은 정말 놀라웠다. 오른쪽 멀리 떨어진 셔틀콕을 향해 라켓을 뻗어 정확히 네트를 넘기며, 천 위 페이가 손쓸 틈 없이 공이 떨어졌다. 이 장면은 팬들과 전문가들을 놀라게 하며, 경기를 지배하는 안세영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안세영은 이 기세를 이어가며 11-6으로 먼저 인터벌을 맞았다. 이어서 18-10까지 달아나며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었다. 연속적인 드롭샷과 좌우 구석으로 정확한 스트로크를 날리며 천 위 페이를 계속해서 압박했다. 특히, 포핸드 직선타와 빠른 반응을 통해 19분 만에 첫 게임을 21-14로 마무리했다.

 

 

 

두 번째 게임은 더 압도적인 경기력이 돋보였다. 안세영은 시속 360km를 넘는 포핸드 직선 스매싱으로 빠르게 5-1로 리드를 잡았다. 천 위 페이는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고, 안세영은 첫 게임의 리듬을 이어가며 빠르게 11-5로 인터벌을 맞이했다. 이후 안세영은 몸을 날리는 슬라이딩 수비로 천 위 페이의 공격을 막아내며, 네트 바로 앞에 떨어지는 셔틀콕을 정확히 받아내는 놀라운 반응속도를 자랑했다.

 

13-5로 점수 차를 벌린 안세영은 이후 천 위 페이의 네트 스매싱 각도를 예측하고, 짧게 라켓을 내밀어 받아넘기는 포인트로 14-5로 점수를 추가했다. 천 위 페이가 반격을 시도했지만, 안세영은 흔들림 없이 경기를 이끌었다. 천 위 페이가 연속 득점을 하며 14-8까지 추격했지만, 안세영은 차분하게 경기를 운영하며 21-15로 두 번째 게임을 마무리했다.

 

안세영은 45분 만에 2-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번 우승은 말레이시아 오픈, 인도 오픈에 이어 올해 세 번째 우승이었다. 안세영은 결승에서의 뛰어난 경기력으로 다시 한 번 세계 최고의 선수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특히, 경기 내내 보여준 정확한 스매싱과 완벽한 수비 능력은 많은 팬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경기 후 안세영은 인터뷰에서 "이번 대회에서 우승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하지만 이제 끝이 아니라 더 좋은 선수가 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이어 3월 11일부터 열리는 2025 전영 오픈 배드민턴 챔피언십(슈퍼 1000 시리즈)에도 참가할 예정이며, 또 다른 우승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 안세영은 전반적으로 빠른 반응속도와 정확한 공격, 그리고 강력한 수비로 상대를 압도했다. 특히, 몸을 날리는 수비와 대각선 하프 스매싱은 그녀의 특징적인 기술로, 팬들은 이 기술들을 보며 안세영의 우승을 확신했다. 그녀는 이번 우승을 통해 세계 배드민턴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며, 앞으로도 많은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