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밥 먹기 전 '이것' 하나 먹었을 뿐인데…혈당 스파이크 막아주는 기적의 간식

 끼니와 끼니 사이 출출함을 달래주는 간식은 낮 동안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활력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당뇨가 있다면 간식 하나를 고르는 데도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시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스낵은 혈당을 급격히 끌어올리는 정제 탄수화물과 설탕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한 식사를 통해 혈당을 관리하려는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뇨 환자에게는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주는 섬유질, 단백질, 건강한 지방이 풍부한 식품을 간식으로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영국 매체 '데일리 익스프레스'와 미국 건강·의료 매체 '헬스라인'의 자료에 따르면, 달걀, 호두, 다크 초콜릿, 호박씨 등은 혈당 걱정을 덜면서 맛과 영양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훌륭한 당뇨 간식이다. 이들은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각각 근육량 유지, 인지 기능 개선, 심혈관 건강 증진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추가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완전식품으로 불리는 달걀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탄수화물 함량이 낮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특히 식전에 삶은 달걀을 섭취하면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 폭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풍부한 아미노산은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대표적인 저혈당지수 식품인 호두는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 수치를 낮추고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며,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 E, 폴리페놀 등은 뇌의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줄여 인지 기능 유지에 도움을 준다. 의외의 간식인 다크 초콜릿도 카카오 함량 75% 이상의 제품을 약 30g 정도 적당량 섭취하면, 풍부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인슐린 저항을 예방하고 식욕 호르몬에 영향을 주어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한다. 

 

이 외에도 식이섬유와 마그네슘이 풍부한 호박씨, 당의 흡수를 늦추는 섬유질이 가득한 배와 사과, 단백질 함량이 높아 포만감을 주는 그리스식 요구르트, 섬유질과 오메가-3가 풍부한 치아 푸딩, 단일 불포화 지방이 혈당 조절과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는 올리브 등도 혈당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는 건강한 간식으로 추천된다.

 

방문객은 2위인데 씀씀이는 4위?…일본 관광 '큰손' 순위서 밀려난 한국

외국인 수는 326만 7천 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3.7% 증가한 수치로, 9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이로써 일본은 관광 산업의 완전한 회복을 넘어 새로운 기록을 써 내려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세는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일본 내수 경제에도 상당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국가별 방문객 수를 살펴보면 중국인의 귀환이 전체적인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9월 한 달간 일본을 찾은 중국인은 총 77만 5,5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라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전체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그 뒤를 이어 한국인 방문객이 67만 900명으로 2위를 차지했으나, 증가율은 2.0%에 그쳐 다소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3위는 52만 7천 명이 방문한 대만(12.0% 증가), 4위는 22만 4,700명을 기록한 미국(17.1% 증가) 순으로 나타나, 아시아뿐만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일본에 대한 관심이 뜨거움을 입증했다.방문객 수의 증가는 곧바로 소비 확대로 이어지며 일본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 관광청이 발표한 3분기 방일 외국인 소비 동향 속보치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외국인 관광객이 일본에서 지출한 총액은 무려 2조 1,310억 엔(한화 약 2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1% 증가한 액수다. 특히 소비 부문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중국인들은 3분기에만 5,901억 엔(약 5조 5천억 원)을 지출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고, 대만이 3,020억 엔, 미국이 2,215억 엔으로 그 뒤를 이었다.한편, 방문객 수 2위를 기록한 한국은 소비액 순위에서는 4위에 머물렀다. 3분기 한국인 관광객의 총 소비액은 2,070억 엔으로, 작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지만 전체 순위에서는 중국, 대만, 미국에 이어 4번째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을 찾는 한국인들이 상대적으로 실속 있는 소비를 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동시에, 중국인 관광객의 막강한 씀씀이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대목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일본을 찾은 누적 외국인 방문객 수는 3,165만 500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단기간에 3천만 명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