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월요병' 출근 길에는 '이 음악' 들으세요

 독일 보훔루르대학교의 한스 요하임 트라페 교수 연구팀이 음악 장르별 건강 효과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클래식 음악이 혈압과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낮추는 데 있어 현대 대중음악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연구팀은 심장 질환 병력이 없는 6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25분 동안 서로 다른 장르의 음악을 들었다. 첫 번째 그룹은 모차르트의 클래식 음악을, 두 번째 그룹은 요한 슈트라우스의 왈츠를, 세 번째 그룹은 스웨덴 팝 그룹 아바(ABBA)의 곡을 감상했다.

 

음악 감상 후 측정한 결과, 클래식 음악을 들은 참가자들의 혈압이 가장 크게 낮아졌다.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은 그룹은 수축기 혈압이 평균 4.7mmHg, 이완기 혈압이 2.1mmHg 감소했다. 슈트라우스의 왈츠를 들은 그룹도 비슷한 효과를 보여 수축기 혈압이 3.7mmHg, 이완기 혈압이 2.9mmHg 낮아졌다. 반면, 아바의 음악을 들은 그룹은 혈압 감소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심박수 감소 효과에서도 클래식 음악이 우세했다. 모차르트 음악을 감상한 그룹은 1분당 심박수가 평균 5.6회 감소해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슈트라우스 음악을 들은 그룹은 4.7회, 아바의 음악을 들은 그룹은 3.0회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는 클래식 음악, 특히 가사가 없는 기악곡이 심장 박동을 안정시키는 데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는 세 그룹 모두에서 감소했지만,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차르트와 슈트라우스의 음악을 들은 그룹은 각각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4.56µg/dL, 4.76µg/dL 감소했으며, 아바의 음악을 들은 그룹은 3.00µg/dL 감소했다. 이는 모든 종류의 음악이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클래식 음악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클래식 음악의 효과가 더 두드러진 이유로 일정한 진행과 반복적인 패턴을 꼽았다. 이러한 특성이 뇌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혈압과 스트레스 수준을 더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가사가 없는 음악이 혈압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이유는, 가사가 있는 음악은 뇌의 언어 처리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감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음악 치료가 고혈압이나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보조 치료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약물 치료에 의존하기 전,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혈압과 스트레스를 관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트라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음악, 특히 클래식 음악이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실질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일상생활에서 정기적으로 클래식 음악을 듣는 것이 스트레스 관리와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독일의 권위 있는 의학 학술지 'Deutsches Ärzteblatt International'에 게재되어 의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향후 다양한 클래식 음악의 효과 차이와 장기적인 음악 치료의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푸틴이 보낸 '호랑이 외교관', 13년 만에 한국에 안긴 선물

에 태어난 암컷 아기 호랑이 설호는, 그 존재만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선사한다. 단순한 아기 동물의 공개를 넘어, 대를 잇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던 부모 사이에서 기적처럼 태어난 귀한 생명이기 때문이다. 서울대공원은 설호의 첫 등장을 알리며, 앞으로 SNS를 통해 성장 과정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국민적인 관심과 사랑을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설호의 탄생은 그 자체로 하나의 기적과도 같다. 아빠 호랑이 '로스토프'와 엄마 '펜자'는 모두 노령에 접어들어 사실상 번식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동물원의 지극한 보살핌과 두 호랑이의 깊은 유대감이 만들어낸 기적적인 결과물인 셈이다. 이로써 설호는 단순한 새 식구를 넘어, 노령 개체에서도 생명이 이어질 수 있다는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동물원 측은 귀하게 얻은 새 생명인 만큼, 설호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보살필 것이라고 전했다.설호의 부모인 로스토프와 펜자는 단순한 동물원 호랑이가 아니다. 이들은 2010년 러시아 야생에서 태어나 우수한 혈통을 보존하고 있는 개체들로, 한·러 수교 20주년 기념 정상회담을 계기로 2011년 5월 한국 땅을 밟은 '호랑이 외교관'이다. 국제적 우호의 상징으로 서울동물원에 온 지 13년 만에 2세를 본 것으로, 외교적 의미에 더해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시베리아 호랑이의 순수 혈통을 국내에서 잇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설호의 탄생은 양국의 우호 관계는 물론, 종 보존이라는 국제적인 노력에도 기여하는 쾌거라 할 수 있다.서울대공원은 '뉴페이스 아이돌'이라는 애칭을 붙여주며 설호에 대한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앞으로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설호의 성장기를 대중과 긴밀하게 공유하며, 코로나19 등으로 지친 시민들에게 새로운 활력과 즐거움을 선사하겠다는 포부다. 귀한 혈통과 기적 같은 탄생 스토리, 그리고 외교적 상징성까지 더해진 아기 호랑이 설호가 과천 서울대공원을 대표하는 새로운 마스코트이자 전국민적인 사랑을 받는 스타로 발돋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