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포스트

여행포스트

달라도 너무 다른 세대별 핫플 1위는?

지난해 20대 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은 관광지는 서울의 여의도 한강공원으로, 20대 전체 여행객의 19%가 이곳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데이터랩이 분석한 ‘세대별 인기 관광지’ 데이터에 따르면, 여의도 한강공원은 문화, 자연, 역사, 레저 스포츠, 체험 등 다양한 분야의 관광지 중에서 높은 방문 비율을 기록하며, 20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데이터는 내비게이션의 검색 건수를 기반으로 관광지별 방문 비율을 산출한 결과로, 여의도 한강공원은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인기를 끌었다. 특히, 여의도 한강공원은 한강을 배경으로 한 자연 경관과 다양한 레저 활동이 제공되어 20대들에게 매력적인 장소로 자리 잡았다.

 

그 뒤를 이어 2위에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에버랜드’가 차지했다. 에버랜드는 20대 여행객의 13%가 방문한 인기 관광지로, 놀이공원과 다양한 체험 활동을 제공하는 장소로 여전히 강한 매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여의도 한강공원이 놀이공원보다 더 많은 방문 비율을 기록한 점은 다소 의외로 해석된다.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을왕리해수욕장’은 3위에 올라 20대 여행객의 11.4%가 찾은 관광지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인천의 ‘월미도’가 9.7%로 4위에 올랐다. 서울의 ‘반포한강공원’은 8.6%의 방문 비율로 5위를 기록했다. 여기에 이어 6위에는 서울의 ‘코엑스’가 차지했으며, 부산의 ‘광안리 해수욕장’과 경기도 시흥시의 ‘오이도’가 각각 7위와 8위에 올랐다.

 

한편, 지난해 급부상한 핫플레이스도 있었다. ‘대유평공원’은 20대 사이에서 방문 비율이 686%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을 보였다. 대유평공원은 수원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으로, 지난해 1월 복합쇼핑몰인 ‘스타필드 수원’이 개장하면서 방문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곳은 숲속놀이터, 왕벚꽃길, 물가쉼터 등 다양한 편의시설과 자연 경관을 제공하여 20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예술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한가람미술관’도 20대 사이에서 419%의 방문 증가율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예술의전당에 위치한 이 미술관에서는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전시와 ‘불멸의 화가 반 고흐’ 전시 등 미술계 거장의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어, 문화 예술을 선호하는 20대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전시들은 두 달여 만에 관람객 수 35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디큐브링크아트센터’는 413%의 방문 증가율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이곳은 뮤지컬 전용 극장으로 유명하며, 최근에는 인기 뮤지컬 ‘광화문연가’와 ‘시카고’ 등을 상연하며 관람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반면, 60대 이상의 세대는 다른 여행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60대 이상의 여행객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찾은 관광지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황산공원’으로, 517%의 방문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황산공원에서는 지난 10월 2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열린 ‘양산국화축제’가 큰 인기를 끌었으며, 3월 29일부터 30일까지는 ‘물금벚꽃축제’도 예정돼 있어, 봄을 맞아 더욱 많은 방문객들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에도 ‘북면신촌온천’과 ‘진천농다리’ 등은 60대 이상 관광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며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진천농다리’는 고려 시대의 유적지로, 그 길이가 93.6m에 달하는 교각으로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명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애기봉평화생태공원조강전망대’는 404%의 방문 증가율을 기록하며 60대 이상의 관광지에서도 주목받았다. 이곳은 북한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으며, 최근에는 스타벅스가 입점하여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이, 20대와 60대 이상의 관광객들은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며, 다양한 관광지가 각 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각 세대의 취향에 맞는 관광지들이 급부상하면서, 향후 관광 시장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정상들 입맛 홀린 K-디저트…'달빛 케이크'와 '보리 커피' 뭐길래?

수 없다"고 입을 모을 정도로, 호텔이 선보인 특별한 식음 메뉴가 연일 화제가 됐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캐나다 카니 총리가 연신 극찬을 쏟아내면서 소노캄 경주는 APEC 기간 최고의 '맛집'으로 떠올랐다. 단순한 식사를 넘어 경주의 문화와 한국적 환대의 가치를 담아낸 메뉴들이 세계 정상들의 마음을 움직이며 성공적인 정상회의의 숨은 주역이 되었다는 평가다.가장 먼저 찬사를 보낸 이는 캐나다의 카니 총리다. 그는 정상회담 후 오찬에서 '월지의 약속'이라는 이름의 식전 건배 음료를 시작으로 전통 해산물 냉채, 오색전, 캐나다산 바닷가재와 한우 안심 스테이크로 이어지는 코스 요리를 맛보았다. 특히 식사의 마지막을 장식한 '경주 찰보리 가배'에 깊은 인상을 받으며 "경주에서의 식사 중 최고였다"는 만족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디저트로 제공된 '월명 케이크'에 마음을 빼앗겼다. 신라의 고도 경주의 달빛을 형상화한 이 케이크는 부드러운 크림과 새콤한 라즈베리 필링의 조화가 일품으로, 둥근 달 모양의 고아한 자태가 특징이다.시진핑 주석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차(茶)였다. 한중 정상 만찬에 제공된 '사색의 시간차'와 '경주의 시간차'는 소노캄 경주가 자랑하는 대표 상품이다. '사색의 시간차'는 '화양연화'와 '청풍명월'이라는 두 가지 테마의 블렌딩 티로 구성된다. '화양연화'는 벚꽃 흩날리는 보문호의 봄을 모티브로 유기농 녹차에 장미잎, 마리골드 등을 섬세하게 배합했으며, '청풍명월'은 맑은 바람과 달빛 아래의 사색을 표현한 차로 은은한 꽃향이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이 차는 모든 객실에 어메니티로 제공될 만큼 호텔의 정체성을 담고 있다.'경주의 시간차'는 '경주 찰보리 가배'와 전통 강정을 함께 묶어 한국적 미감을 극대화했다. 경주산 찰보리와 흑다향 보리를 베이스로 치커리, 둥굴레 등을 블렌딩한 '보리가배'는 카페인이 없어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깊고 구수한 풍미가 특징이다. 여기에 감태, 견과, 유자, 계피 네 가지 맛으로 구성된 현미 강정을 곁들여 자연의 맛을 오롯이 전했다. 소노캄 경주 측은 단순한 선물을 넘어 경주에서의 특별한 경험과 여운을 선사하고 싶었다며, 경주의 문화적 감수성과 한국적 환대의 의미를 담아 준비했다고 밝혔다.